5년정도 AWS를 사용했는데, 오라클 클라우드로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.
유료 서비스를 사용하더라도 오라클의 조건이 나쁘지 않다. 그래봐야 AWS 요금이 한달에 1~2만원 남짓이지만...
장점은 아래와 같다.
- 기간 없이 무료다.
- 고정 IP 준다.
- 볼륨도 넉넉하게 준다.
- 유료/무료 정확하게 알려준다.
-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, 상대적으로 착한 가격
VM을 생성해보자!
- 오라클 클라우드 가입
- VM 생성
- 네트워크에서 고정 IP 생성
- 고정 IP와 VM 연결
- 볼륨 생성 (100기가 용량과 함께 고성능 옵션을 선택하자.)
- 볼륨 마운트 하기
- 마운트 된 볼륨 사용하기.
6번과 7번에서 주의해야 하는데,
6번은 인스턴스 상세 메뉴에서 "블록 볼륨 연결" > "iSCSI 명령 및 정보" 항목을 복붙하면 된다.
7번은 아래 명령어를 이용한다. 정확하게 입력해야 한다.
// 100기가 마운트가 잘 되어 있는지 확인
lsblk
// ext4로 포맷
sudo mkfs.ext4 -m 0 -E lazy_itable_init=0,lazy_journal_init=0,discard /dev/sdb
// symlink 연결
$ sudo mkdir -p /mnt/disks/sdb
$ sudo mount -o discard,defaults /dev/sdb /mnt/disks/sdb
$ sudo chmod a+w /mnt/disks/sdb
// uuid 확인
sudo blkid /dev/sdb
// etc/fstab에 아래 내용 추가
// UUID="위에서 얻은 uuid" /mnt/disks/sdb ext4 discard,defaults,noatime,_netdev 0 2
sudo vi /etc/fstab
// 마운트
sudo mount -all
// 마운트 확인
df -h
무료로 루트 볼륨 50기가 + 100기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.
참고로 총 200기가가 무료라고 해서, 150기가 불륨을 신청하니 무료 라벨이 사라졌다. 그래서 100기가로 신청했다. ㅎㅎ
이제 nginx를 설치하고, 네트워크 보안 그룹 혹은 서브넷 세팅으로 인바운드 트래픽을 풀어주자.
네트워킹 > 가상 클라우드 네트워크 > vnc > 보안 규칙에서 80/443 포트를 열어주면 된다.
마지막으로 터미널로 접속하여, 방화벽 해제를 하자.
iptables에 포트 허용 규칙을 추가하면 끝!
sudo iptables -I INPUT 1 -p tcp --dport 80 -j ACCEPT
sudo iptables -I INPUT 1 -p tcp --dport 443 -j ACCEPT
sudo iptables --list
물론 iptables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해도 좋다. 어차피 인스턴스 인바운드/아웃바운드 정책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.
iptables -P INPUT ACCEPT
iptables -P OUTPUT ACCEPT
iptables -P FORWARD ACCEPT
iptables -F
'개발 이야기 > 서버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buntu에 docker 설치 (1) | 2021.11.29 |
---|---|
Docker + Nginx + NextJS (0) | 2021.11.27 |
Mac SSH 연결과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. (0) | 2018.11.01 |
아파치 서버 설치 하기 (0) | 2017.10.18 |